<아는동네 아는성수> 미리보기 #4

디웰하우스

김작가|

‘방’에서만 살아온 세대들이 함께 사는 ‘집’

그곳에선 사람 냄새가 났다. 세월의 흔적이라 말할 수 있는, 복합적 체취가 쌓여 있었다. 건물 두 채에 열여덟 개의 방이 있다. 2인실이 두 개, 나머지는 1인실이다. 2014년 개점해 그동안 60명 정도가 나고 들었다. 평균 1년 반씩 산 그들은 여느 원룸, 오피스텔 입주자들과는 다른 생활을 한다. 자체적으로 반상회를 열고 독서 모임을 가지며 함께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술잔을 나누다가 늦은 밤이 되면 다 같이 택시를 잡아타고 이태원이나 압구정으로 넘어가 ‘불금’을 즐긴다. 공유주택의 개념을 바꿔놓은 디웰하우스(이하 디웰)에서의 삶이다.



디웰하우스 현관


디웰은 시민운동 혹은 청년운동의 일환처럼 여겨졌던 공유주택의 개념을 변화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사기업이 주택 공유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뉴스는 호사가들의 귀를 솔깃하게 했다. 스포트라이트가 비춰지기 전의 성수동이라 더 그랬다. 모르는 남녀가 떼 지어 함께 산다는 게 가능할까? 아니, 안전할까? 가장 흔한 걱정이었다. 디웰은 그런 우려를 스스로 불식해왔다.

이는 처음부터 엄격한 과정을 거쳐 입주자를 뽑아온 덕이다. 입사 과정에 비유하자면 서류와 면접, 그리고 집단 인터뷰를 거친다. 최종 단계에서 기존 입주자들과 함께 식사한 후,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받은 이만이 입주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이곳을 운영하는 루트임팩트 직원조차 최종 단계에서 떨어졌다. 시스템의 엄정함이 눅진다. 처음부터 지금까지 디웰을 지키고 있는 허지용 매니저는 말한다.

“우리가 가진 리소스의 절반은 좋은 사람을 뽑는 데 쓴다. 그다음에 해야 할 일은 거의 없다. 공실이 있다고 해서 어중간한 사람을 뽑았을 때 발생하는 리스크가 더 크다.”

월세는 한 달 평균 35만 원, 제일 싼 방이 29만 원이고 비싼 방은 45만 원이다. 두 달 치 월세를 선납해 보증금을 대치한다. 성수동 평균 시세의 40~60%다. 서울 전체 시세로 본다면 고시원과 원룸의 중간 가격이다. 안정된 소득을 보장할 수 없는 사회적 기업, 스타트업 직원에게는 더없이 매력적인 환경이다. 하지만 단지 경제적 이유로 이곳의 높은 벽을 두드리는 사람이 많은 건 아니다.

“지원자의 60%는 ‘사람 보고 들어왔다’고 한다. 동의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면, 우리는 디웰에 살고 있거나 살았던 사람들을 온라인에 공개한다. 그런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여기 살고 싶어 하는 거다.”

디웰하우스는 살기 위한 공간이 아니라 사회를 바꾸려는 욕망을 가진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고시원, 원룸과는 애초에 방향이 다른 공간이다.



디웰하우스 내부 공간


입주자들의 거주 기간은 평균 1년 반에서 최대 3년이다. 이 기간 동안 디웰에서는 딱 세 가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웰컴 파티, 페어웰 파티, 그리고 1년에 한 번 전・현 입주자가 모이는 날이 전부다. 개인이 편하게 사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두기 때문이다. 느슨하고 자유로운 관계는 자발적으로 확장되고 발전한다. 취업과 창업 같은 형태로 이웃에서 직원이나 파트너가 되기도 한다. 외부에서 기대(?)하는 남녀 간의 ‘썸’은 오히려 거의 없는 편이다. 디웰에 살았던 60명 중 커플의 인연을 맺은 경우는 딱 한 번뿐. 그러니 이곳에서의 생활을 대략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어떤 성향의 사람들이 모이는지도.

“겸손한 사람에 대한 선호도가 갈수록 커진다. 그리고 명상, 요가・필라테스 자격증, 바텐딩 같은 개인기를 가졌거나 특정 분야에 대한 ‘덕력’을 갖춘 사람들을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게임으로 치자면 밸런스 타입인데 확실한 필살기가 있는 캐릭터를 선호하는 셈이다.




어쩌면 입사시험 같고 어쩌면 만민공동회 같은 절차를 거쳐 입주하지만, 사람 사는 곳에 갈등은 생기는 법. 사소하게는 코골이로 인한 볼멘소리부터, 크게는 큰소리가 오갈 정도의 다툼이 벌어지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 2인실을 줄여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장하는 식으로 해결했지만, 후자는 난감한 상황. 이 공동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경우 입주자의 50%가 찬성하면 퇴거 조치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다행히 그동안 이 퇴출 회의는 딱 한 번 열렸다. 오히려 문제는 디웰 입주자 대부분이 사회를 바꾸려는 의지를 가졌기 때문에 발생한다. 꿈은 높은데 현실은 녹록지 않은 탓에 자존감, 심리 상태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서로가 힐링의 파트너가 되어 주길 바라지만 임계점을 넘는 상황이 발생한다.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지친다. 현실은 현실이다.



디웰하우스 옥상


그 현실이 쌓여 약 5년이 흐른 지금, 한국 사회가 변한 만큼 디웰에도 조금씩 변화가 찾아오고 있다. 애초 31세였던 입주자 평균 연령이 최근 29세로 낮아졌다. 기존에는 소셜벤처 창업자가 제일 많았던 반면, 최근에는 프리랜서와 1인 기업 종사자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학생 신분으로 창업해서 활동하거나 아예 대학 대신 창업을 선택한 젊은이들도 지원하고 있다. 공유주택에 대한 개념과 이해가 확산된다는 증거다. 그리고 또 하나.

“건축과에 다니는 친구가 지원한 적이 있다. 공유주택이 불편해도 그 이상의 가치가 있다는 게 마케팅 포인트였는데, 그 친구가 이렇게 말하더라. 자기는 집에 살아본 적이 없고 항상 방에 살았다며, 셰어하우스는 무언가를 포기하는 게 아니라 누릴 수 있는 게 늘어나는 거라고.”

독립하지 않는 이상 프라이버시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족과의 연대감이 낮아질수록 거실 등의 공유공간은 남의 것처럼 느껴지기 마련이다. 설령 독립한다 해도 대부분 원룸 아니면 오피스텔, 모두 ‘집’이 아니라 ‘방’이다. 반면 셰어하우스 역시 방을 점유한다는 점은 그대로지만 거기에 더해 거실과 부엌 등을 누릴 수 있다. 세대가 바뀜에 따라 공유주택의 개념도 바뀌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저성장 기조는 공고화되고 있다. 미래의 색깔은 점점 무채색이 되어 간다. 아파트 공화국이란 현실에서 집을 소유할 수 있는 가능성은, 특히 1인 가구에게는 희박해지고 있다. 공유의 개념이 갈수록 자연스러워질 거라는 예상은, 그래서 합리적이다.


※ 본 콘텐츠는 <아는동네 아는성수>의 수록 콘텐츠를 재편집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에디터

* 편집자: 아는동네

김작가

zakka666@gmail.com